기타 전역

[스크랩] [번역] 인도-파키스탄 분쟁사 / 2002, BBC news (2)

박용수 2014. 10. 27. 17:11

(계속)

 

1989년, 카시미르 폭동 (Kashmir insurgency)

 

(이어지는 폭동: 2001년, 스리나가(Srinagar)에 대한 공격으로 38명이 사망합니다.)

 

요약
 1989년에는 인도의 지배에 반대하는 무장 저항운동이 카시미르 계곡에서 벌어집니다. 일부 그룹들은 독립을, 또 다른 그룹들은 파키스탄과의 합병을 요구하였습니다. 인도는 이들 군사그룹들에게 파키스탄이 무기를 공급하고 있다고 비난하였습니다. 1990년대 기간 동안, 군사적 무슬림 그룹이 대두하면서 이러한 운동의 이데올로기는 실질적으로 이슬람적 성격을 띄게 됩니다.


전문


 1989년, 카시미르 계곡에서는 인도 지배에 반대하는 무장 저항운동이 벌어집니다. 무슬림 정치 정당들은 1987년의 주의회 선거가 자신들에게 불리하게 조작되었다고 주장하였고, 이어 군사조직을 결성하기 시작합니다.

 

 일부 그룹들은 잠무와 카시미르 주가 독립할 것을 요구하였으며, 다른 그룹들은 파키스탄과의 합병을 주장하였습니다. 파키스탄은 이들에게 "도덕적, 외교적" 지원을 하였으며, 이 이슈를 국제연합(UN)에서 지원하는 주민투표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인도 정부는 파키스탄 정부가 이들 무장 분리주의자들에게 훈련과 무기를 제공하고 있다고 주장하였으며, 또한 파키스탄이 "국경을 넘어 테러리즘"을 가하는 것을 멈추라고 반복하여 요구하였습니다.

 

 1990년대 기간, 몇몇 새로운 군사그룹들이 등장하였고, 이들은 대체로 급진적인 이슬람적 시각을 갖고 있는 그룹들이었습니다.

 

 분리운동의 이데올로기적 중심이 상대적으로 민족주의적이고 세속적이었던 것에서, 이제는 이슬람적인 것으로 옮겨간 것입니다.

 

 이렇게 된 원인의 일부로는, 1980년대 기간 동안 아프가니스탄에서 소련과 싸웠던 이슬람 "지하드(Jihadi)" 전사들이 대규모로 카시미르 계곡으로 유입된 것에도 기인합니다.

 

 

 

1996-97년, 외교적 압박 (Diplomatic push)

 

(외교에의 희망: 1997년, 당시 인도 외무장관이었던 인데르 쿠마 구즈랄 (Inder Kumar Gujral)(좌측)이 파키스탄측 상대자인 고하르 아유브를 만나는 장면(Gohar Ayub)(우측) )

 

요약
 인도와 파키스탄은 잠무와 카시미르 문제에 대한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낮은 수준의 협상을 준비합니다. 1년 후에는 외교적 압박이 보다 조직적이 되었고, 이어 평화 회담에 대한 아젠다가 합의됩니다. 1997년에는 파키스탄 측에서 양측의 핵 및 미사일 능력을 제한하기 위한 회담을 하자는 제의를 하기도 합니다.

 


전문
 1996년, 파키스탄과 인도의 군 장교들이, 잠무와 카시미르 주를 분단하고 있는 통제선(Line of Control)에서, 충돌 후의 긴장을 완화하기 위하여 만나게 됩니다.

 

 1997년은 양국 모두 독립 50주년이었던 해로, 이 해에는 외교적 활동들이 봇물을 이루게 됩니다. 1997년, 인도와 파키스탄 외교장관들이 델리에서 회동합니다.

 

 이슬라마바드에서의 두번째 회담 이후, 양측은 평화와 관련된 8가지의 아젠다를 발표합니다. 여기에는 카시미르 문제도 포함되어 있었습니다. 비록 이 회담은 교착상태로 마무리되지만, 양측은 다시 만나기로 약속합니다.

 

 국제연합에서의 연설에서, 파키스탄 국무총리 나와즈 샤리프(Nawaz Sharif)는 인도와의 불가침 조약에 대하여 논의할 것을 제안하였으며, 또한 양국이 자신들의 핵과 미사일 능력을 제한하는 거래를 할 것을 제안하였습니다.

 

 1988년 인도와 파키스탄은 상대방의 핵시설을 공격하지 않기로 하는 협정에 서명합니다.

 

 인도는 제 3자가 카시미르 국경 분쟁을 해결하는 데에 중재하는 것에 대해 일관되게 반대하였습니다. 1972년 심라 협정에 따라 양국의 이해차이는 쌍무적 협의로만 풀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1980년대 기간, 인도와 파키스탄 간에는 커다란 차이점을 극복하려는 외교 협의가 몇차례 있었습니다. 성사되지는 않았으나, 1982년에는 양국이 불가침 조약에 대한 협의를 한 적도 있습니다. 그러나 1984년, 인도군이 북부 카시미르에 위치한 시아첸 빙하(Siachen glacier)에 병력을 공수함에 따라 이 지역의 긴장은 고조됩니다.

 

 파키스탄 역시 빙하의 자기측 지역을 요새화하면서, 이곳은 전 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높은 전쟁지역으로 변하게 됩니다.

 

 

 

1998년, 핵 경쟁 (Nuclear rivalry)

 

(양국 모두 상대방 국가의 도시들을 타격할 수 있는 장거리 미사일들을 개발하였습니다.)


요약
 양측이 핵실험을 진행함에 따라 핵전쟁의 공포가 늘어나게 됩니다. 미국은 양국 모두에게 제재를 가하였고, 몇몇 유럽 국가들도 이에 동참합니다. 다음해 초에 양측이 잠무와 카시미를 문제를 포함한 모든 이슈들에 대해 해결 노력을 강화하겠다는 협정에 서명함으로써, 이러한 긴장은 완화됩니다.

 


전문
 양국간의 군비경쟁은 1990년대가 들어 급격히 심화됩니다.

 

 1998년 5월, 인도는 파키스탄 접경지역인 라자스탄(Rajasthan)의 서부 사막에서 지하 핵실험을 실시합니다. 한편, 파키스탄 역시도 발루치스탄(Baluchistan)에서 6번의 실험을 실시합니다.

 

 같은 해, 파키스탄은 사거리 1500km의 가우리(Ghauri) 미사일에 대한 실험을 실시합니다. 이 이름은 12세기에 인도 일부를 정복했던 이슬람 전사의 이름에서 따온 것입니다.

 

 양국 모두 핵전쟁이 공포를 증가시킨 데에 대해 국제사회의 심한 비난을 받게 됩니다.

 

 미국은 양국 모두에게 제재를 가하여, 200억 달러 이상의 원조, 차관, 무역을 동결합니다. 일본 역시 10억 달러 상당의 원조 차관을 차단합니다.

 

 몇몇 유럽 국가들도 이에 동참하였고, G-8국가 정부들은 인도적인 경우가 아닌 차관에 대해서는 인도와 파키스탄에 대해 불허하게 됩니다.

 

 국제연합 안전보장 이사회에서는 인도와 파키스탄의 핵실험에 대해서 비난하였고, 양국이 모든 핵무기 프로그램을 중단할 것을 요구합니다.

 

 1999년 2월, 양국간의 관계는 다시금 부드러워지는데, 이는 인도 총리 아탈 바즈파에(Atal Vajpayee)가 파키스탄을 방문하여 파키스탄 총리 나와즈 샤리프와 회동했던 것입니다.

 

 이들은 라호르 협정(Lahore accord)에 서명하면서, "잠무와 카시미르를 포함한 모든 이슈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라고 합니다.

 

 인도가 첫번째 핵무기를 터트렸던 것은 1974년입니다. 1989년, 파키스탄은 자신들의 첫번째 장거리 지대지 미사일인 하트프-1, 하트프-2(Hatf-1, Hatf-2)을 성공적으로 시험발사했다고 선언합니다.

 

 1992년, 파키스탄은 핵폭탄을 만들 수 있는 과학적 노하우를 습득했다고 선언합니다.

 

 

 

1999년, 카길 분쟁 (Kargil conflict)

 

(카길 분쟁이 한창일 당시에는 매일 천여발의 포탄이 발사되었습니다.)

요약
 인도 치하 카시미르 지역에 침투한, 파키스탄의 후원을 받는 군대에 대하여 인도가 공습을 실시하면서 분쟁은 다시금 발발하게 됩니다. 전투는 양국간의 직접 교전으로 번지게 되고, 휴전선 양편으로 수만명의 사람들이 집을 떠나 피난하게 됩니다. 이 해 말, 파키스탄에서는 무샤라프 장군(General Musharraf)이 군사쿠데타를 일으킵니다.

 

 

전문
 거의 30여년만에 처음으로, 1999년 5월, 인도는 인도측이 지배하고 있는 카시미르 지역의 일부이자 산악지대인 카길 북부지역에 침투한, 파키스탄의 후원을 받는 군대에게 공습을 실시합니다.

 

 파키스탄측은 전투가 양국간의 직접 전투로 비화됨에 따라 자국군을 비상체제로 전환합니다.

 

 인도측은 이 작전에 파키스탄이 지배하는 북부 지역(Northern Area)에 기지가 있는 북부 경보병대(northern light infantry)의 파키스탄군이 참전했다고 반복하여 주장하였고, 파키스탄 측은 이에 대해 역시 일관되게 부인하였습니다.

파키스탄 측은 이들이 인도령 잠무 및 카시미르의 해방을 위해 싸우는 "자유의 투사들(freedom fighters)"이라고 주장하였습니다.

 

 분쟁이 한창일 당시에는, 하루에도 수천발의 포탄이 발사되었으며, 인도 측에서는 수백회의 공습을 감행하였습니다. 적십자에서는 통제선의 파키스탄쪽 부분에서만 3만명 이상의 인구가 피난해야 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특파원들의 보고에 따르면, 인도 측에서도 약 2만명의 피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 분쟁에서 양측 모두 자기 쪽이 승리하였다고 주장하였습니다. 이 분쟁이 끝난 것은, 미국의 압력에 따라 나와즈 샤리프 총리가 침투부대를 철수시킨 뒤였습니다.

 

 1999년 10월, 파키스탄에서는 페르베즈 무샤라프 장군이 군사 쿠데타를 일으켜, 민선 총리인 나와즈 샤리프를 끌어내렸습니다. 무샤라프 장군의 정권 장악은 나중에 파키스탄 최고 법정의 비준을 받습니다.

 

 그러나 이 쿠데타는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으며, 국제사회는 선거를 통해 민간 정부로의 즉각적인 이양을 요구하게 됩니다. 파키스탄은 영연방에서도 자격을 유예(suspend)당하게 됩니다.

 

 


2001년 전쟁 위기(The brink of war)

 

(긴장된 국경선을 따라 대치 중인 모습)

요약
 휴전선을 따른 긴장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2001년 10월에는 스리나가의 카시미르 의회에 대한 공격으로 38명이 살해당합니다. 한달 후, 델리의 인도 국회에 대한 공격으로 14명이 살해됩니다. 인도는 이에 대해 파키스탄의 후원을 받는 카시미르 군사조직을 비난합니다. 인도-파키스탄 접경지대에는 급격히 병력 증가가 이뤄집니다.


전문
 2001년 9월 11일 미국에 대한 자살공격은, 서방세계와 파키스탄간의 관계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불러옵니다. 파키스탄은 오사마 빈 라덴의 알카에다 네트워크와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지배층에 대한 미국측의 작전에 협조할 것에 동의합니다.

통제선 주변의 긴장은 계속됩니다. 일년 이상 계속된 최악의 전투는, 그간 파키스탄이 국경을 넘어 테러를 저지른다고 비난해 온 인도 측에서 10월부터 파키스탄 군사진지에 포격을 가하면서 시작됩니다.

 

 10월에는 또한 스리나가의 카시미르 의회에 대한 공격으로 38명이 사망하는 일도 발생합니다. 이 공격 이후, 인도령 카시미르 총리 파룩 압둘라(Farooq Abdullah)는 인도 정부를 향하여 국경을 넘어 파키스탄에 있는 무장단체 훈련캠프를 공격해 달라고 요청하게 됩니다.

 

 12월 13일, 델리의 인도 국회에 대한 무장공격이 발생하여 14명이 사망합니다. 인도는 다시금 파키스탄이 원조하는 카시미르 무장단체를 비난합니다. 이 공격으로 인도-파키스탄 접경에는 급격한 병력 증강이 이뤄지고, 대규모 전투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됩니다.

 

 2002년 1월, 무샤라프 대통령은 테러리스트가 파키스탄 영토 내에서 활동하는 것을 용인하지 않겠노라는 성명을 내놓습니다. 또한 인도 정부에게 잠무와 카시미르 분쟁을 대화로 해결하자고 요청합니다.

 

 인도측에서는, 그 말을 행동으로 뒷받침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답합니다.

 

(끝)

출처 : FocusWar
글쓴이 : 운영자-박용수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