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적 · 아프리카 반군

[스크랩] [번역] 해적질과의 기나긴 전쟁사 : 역사적 경향 / 미육군 지휘참모대학, 2010년 / 제 4장. 아시아에서의 해적 (5)

박용수 2014. 10. 27. 16:39

< 원문출처 : 미육군 지휘참모대학 (http://www.cgsc.edu/carl/download/csipubs/wombwell_32.pdf) pp 110~ pp 117 >

 

 



(4장 계속)

 

 1849년, 영국군과 미군은 중국 해적인 십오자(Shap-ng-tsai; 十五仔)와 그의 동료 서아보(Chui A-poo; 徐亞保)에 대한 공격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다. 서아보는 1849년 2월, 홍콩에서 2명의 영국 장교들을 살해하여 영국 왕실을 격분하게 만들었다. 영국 브리그 선박인 콜롬바인 호(Columbine)(대포 12문)는 수차추진 슬루프 선(paddle-wheel sloop)인 퓨리 호(Fury)(대포 6문), 페닌술라 앤 오리엔트 회사(Peninsula and Orient Company) 증기선인 칸톤 호(Canton), HMS 헤이스팅스 호(HMS Hastings) 소속 보트들과 연계하여, 1849년 9월 28일-29일간의 2차례 교전을 통해 서아보의 함대를 격파한다. 영국군은 해적 정크선 23척을 격파하고, 총 1800명의 해적 중에서 400여명을 살해한다.

 

 1개월 뒤인 1849년 10월, 콜롬바인 호는 십오자를 따라잡는다. 당시 십오자의 해적들은 1849년 봄과 여름에 걸쳐 중국 남부해안을 유린하고 있었다. 6월에는 해남도 근방에 있는 영국 소유의 정크선을 공격하는 만용을 부리기까지 했었다. 콜롬바인 호는 중국 관리 1명과 8척의 제국 군함들과 함께 십오자를 수색하기 시작했다. 연합군은 마침내 10월 20일 십오자와 그의 해적들을 따라잡는다. 이어진 2일간의 전투를 통해 영국군과 청나라 제국군(Imperial Chinese force)은 십오자의 함선을 포함한 58척의 해적선을 격파하고, 약 1700명의 해적들을 살해한다. 이 과정에서 전사자는 1명 뿐이었다. 십오자와 서아보 둘 다 도주에 성공한다. 십오자는 나중에는 중국 정부에 협조하게 되고 사면되는 반면, 서아보의 경우 붙잡혀 옥중에서 자살하게 된다.

 

 1849년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해적들의 활동은 지속되었다. 차이나 메일 지(China Mail; 德臣西報, 中國郵報)에서는 매 주일 마다 해적들의 공격을 기사로 실었다. 영국 관리들은 "대규모 해적행위는 나타나고 있지 않지만, 바다 위에는 어부이자 상인이자 해적인 일단의 떠돌이들로 가득하다"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중국 영해에서의 영국 전단은, 비록 성공적이긴 했지만, 효과적이기에는 너무 소규모였고, 일이 너무 많아서 어느 한 장소에 대해 충분히 지속적인 보호를 제공할 수가 없었던 것이다.
 
 1차 아편전쟁으로 발생한 짧은 휴지기 이후인 1853년부터 해적 소탕작전은 재개된다. 이해 5월, 스크루 추진  슬루프 선박(screw-propelled sloop)인 래틀러 호(Rattler)(대포 11문)가 7척의 해적 정크선과 교전하였고, 더하여 진남관(Namquan; 鎭南關) 부근에서 8번째 해적선과 교전한다. 해적들은 얼마 전에 상선단을 나포하여 이곳에서 몸값이 지불되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것이다. 래틀러 호의 포격으로 해적대장의 정크선과 또 한척의 해적선이 격침되었으며, 이로써 해적들의 사기는 떨어진다. 나머지 정크선들은 해안에 접안하고 해적들은 육지로 도주를 시도한다. 그러나 육지의 성난 농민들이 이들 해적들을 추격하여 대다수를 살해한다. 해적 일부는 근처의 정크선을 빼앗아 선원들을 죽이고 강 상류로 도주를 시도한다. 래틀러 호의 커터(cutter) 선박이 해적들을 따라잡아 승선을 시도하지만, 그 과정에서 영국 장교 1명과 선원 2명이 사망하면서 격퇴당한다. 래틀러 호의 지휘관은 500명의 해적들을 죽였다고 보고한다; 84문의 대포와 4척의 정크선, 1척의 로차 선(lorcha)을 압수하였다; 2척의 정크선을 격침시키고 1척을 불태웠다.

 

 1854년이 되면 태평천국의 난(Taiping Rebellion)으로 인한 백성들의 혼란으로 중국의 해적 문제도 가중되게 된다. 주강(Pearl River; 珠江)의 경우, 중국 선박들은 거의 통행 불가능한 하천이 되어 버렸고, 외국 선박들의 경우에도 강을 따라 광저우(Canton)로 가는 과정에서 공격을 당하는 실정이었다. 상해(Shanghai; 上海)의 경우도 상황이 나쁘긴 마찬가지였다. 매튜 C. 페리 준장(Commodore Matthew C. Perry)이 일본을 개항시키기 위한 무력시위를 위해 동인도 전단(East Indies Squadron)을 중국에서 빼돌리려 하자, 미국 상인 사회에서는 거센 불만이 쏟아져나왔다. 이들 상인들을 달래기 위해 페리 제독은 영국에서 보유한 증기선인 퀸 호(Queen)를 대여(lease)하여 미국 상인들을 보호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퀸 호에는 미국인 20명과 중국인 10명이 배치되었으며, 4문의 소형 대포로 무장하고 있었다. 이 배의 초대 지휘관은 외륜기선(side-wheel steamer) 미시시피 호(Mississippi)(대포 10문) 출신의 알프레드 테일러 대위(Lieutenant Alfred Taylor)가 맡게 된다. 같은 해 후반, 조지 H. 프레블 대위(Lieutenant George H. Preble; 미국 국가 The Star-Spangled Banner의 테마가 된 맥켄리 요새 전투와 관련되어 유명한 인물임. 역주)가 슬루프 선 마케도니안 호(Macedonian)(대포 36문)로부터 파견되어 퀸 호의 임시 지휘를 맡기도 한다.

 

 나날이 상황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영국이 행동을 결심한다. 영국에서는 대부분의 해적과의 교전이 중국 영해에서 벌어질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에, 홍콩 총독은 중국에게 해적들을 상대하기 위한 연합군을 결성하자고 제의한다. 중국 관리들은 이에 동의하였고, 고위 관리 1명과 전투 정크선 1척을 작전에 참가시킨다. 이 작전에는 미국 해군과 포르투갈 해군, 그리고 중국 상인들도 기여를 한다. 1854년 11월, 영국인들은 다음과 같은 배들로 구성된 임무부대를 집결시킨다: 스크루 추진 슬루프 선(screw-propelled sloop) 인카운터 호(Encounter)(대포 14문), 외륜 추진 슬루프 선(paddle-wheel sloop) 바라쿠타 호(Barracouta)(대포 6문), 외륜 추진 슬루프 선 스틱스 호(Styx)(대포 6문), 윈체스터 호(Winchester) 소속의 론치 선(launch) 1척, 스파르탄 호(Spartan) 소속의 피니스 선(pinnace) 1척. 그 밖에도 퀸 호, 포르투갈의 아마존 호(Amazon), 중국 상인들이 대여한 페닌술라 앤 오리엔트 회사의 증기선 2척, 그리고 중국측 전투 정크선(war junk)이 참가하였다.

 

 신설된 연합군의 첫번째 작전은 11월 초에 퀸 호가 난두 섬(Lantau Island; 爛頭) 북변의 대호(Taiho; 大蠔) 항구에 정박 중이던 대규모 해적선단을 발견하면서 시작된다. 낮은 수심으로 인해 퀸 호는 해적들에 접근할 수 없었기 때문에, 프레블은 홍콩으로 귀환하여 제임스 스털링 소장(Rear Admiral Sir James Stirling)에게 지원을 요청한다. 스털링 제독은 이에 인카운터 호와 무장 보트 몇 척을 파견한다. 인카운터 호는 포격을 통해 해적들을 배에서 몰아낸다. 무장 보트들의 승선대원들은 17척의 해적선을 나포하여 불태운다.

 

 이 작전에 이어, 스털링 제독은 연합 함대의 7척을 이끌고 중국 해적 Aw-ung (???)을 추격한다. Aw-ung은 구룡 (Khulan/Coulan; 九龍) 근처에 숨어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었다. 연합군은 1854년 11월 11일 해적들을 공격하여 50척의 정크선을 격파하고, 3곳의 마을을 불태웠으며, 해안포대 3곳을 격파하였다. 연합군이 해적 90명을 죽인 데 반해 피해는 경미했다. 마케도니안 호의 선원이었던 미국인 1명만이 사망한다.

 

 1855년 2월, 영국 브리그선 비터른 호(Bittern)(대포 12문)가 영국 스쿠너 선인 제피르 호(Zephyr)를 구조한다. 이 선박은 Wanchew 근방의 민강(River Min; 閩江)에서 해적에게 붙잡혔었다. 이 과정에서 해적 정크선 3척을 나포하고 해적 64명을 체포한다. 해적선 8~9척 가량은 도주한다.

 

 이후 프레블은 상해 근방의 해적들을 상대로 2차례 추가 작전을 지휘한다. 1855년 6월, 프레블은 복주 시(Foochow; 福州)와 영파 시(Ningpo; 寧波)로 향하는 토우보트(towboat) 콩푸셔스 호(Confucius)에 탑승한 무장부대를 인솔하게 된다. 그 과정에서 이들은 목재를 운반하는 250척으로 구성된 정크선단을 호위하였으며, 해적선 5척과 교전한다. 다음 달 프레블은, 황해(Yellow Sea)에서 활동하는 해적들을 상대하기 위한 영국군 원정대에 합류한다. 이번에도 프레블은 콩푸셔스 호에 탑승한다. 이번에는 지원함인 석탄 브리그 선 클라운 호(Clown)가 악천후로 침몰하면서 연합군 작전은 취소된다. (그림 11에는 남경(Nanking)과 상해(Shanghai), 영파(Ningpo)가 나타나 있다.)

 

(그림 11. 남경, 상해, 영파 지역이 나타나 있다.)

 

 영국 슬루프 선인 레이스호스 호(Racehorse)(대포 18문)는 하문(Amoy; 廈門)과 복주(Foochow) 사이의 중국 해안을 순찰하던 중 해적 함대를 발견한다. 다음 날인 1855년 6월 26일, 레이스호스 호의 커터선이 해적선 1척을 붙잡아 불태운다. 이날 오후, 해적 정크선 2척과 추가 교전이 벌어진다. 1척은 나포하였고, 또 한척은 불태운다. 해적에게 붙잡혀있던 로차 선박(lorcha)은 해방되어 하문으로 돌아간다.

 

 얼마 후인 1855년 7월 4일, 레이스호스 호는 해적 정크선 1척을 나포한다. 불행하게도, 훨씬 큰 해적선을 나포하려던 이 과정에서 레이스호스 호는 9명의 인명피해를 입는다. 해적선에 올라타기 위해 접근하던 레이스호스 호의 보트(gig)에 해적들이 던진 소이탄(stinkpot; 사전적으로는 '악취탄'으로 번역되나, 기능상 오늘날의 '소이탄(incendiary device)'에 해당됨. 역주)이 명중하면서 보트에 탑재된 탄약이 유폭했던 것이다. 보트에 타고 있던 선원 9명이 전원 폭발에 휘말린다. 비록 9명 모두 구조되긴 했지만, 그 중 7명은 심한 부상을 입었고, 이들 중에서 2명은 결국 사망한다. 한편 본선은 해적선에 몰래 접근하는 데에 성공하고, 해적들에 포격을 가한다. 여기저기 배에 구멍이 나자, 해적들은 침몰을 막기 위해 해적선을 좌초시킨다. 해적들 대부분은 살해당하거나 익사한다. 생존자들은 레이스호스 호의 선원들에게 붙잡히거나, 인근 마을 주민들에게 붙잡힌다.

 

 1855년 7월 말, 무장 증기선 이글렛 호(Eaglet)의 호위를 받고 있던 3척의 무역 정크선과 4척의 다른 선박이 해적들에게 나포되는 일이 발생한다. 래틀러 호(Rattler)는 이 소식을 전파받고 곧 해적 수색에 나선다. 래틀러 호는 지난 11월의 전투가 벌어졌던 장소인 구룡 (Khulan; 九龍) 항구에서 해적들을 포착한다. 불행하게도 래틀러 호는 해적들과 교전할 수가 없었는데, 래틀러 호는 기항하기에는 너무 흘수(吃水)가 깊었으며, 또한 해적들과의 교전에 투입할 만큼 충분한 수의 보트도 보유하고 있지 못했다. 결국 래틀러 호는 홍콩으로 귀환하여 포와탄 호(Powhatan)의 지원을 요청한다. 래틀러 호는 8월 3일 다시 출항하면서 포와탄 호의 3척의 소형 보트들을 견인해가게 되며, 해당 보트들에는 미국 선원 및 해병 100명과 곡사포 1문(a howitzer)이 탑재되어 있었다. 다음 날 아침인 8월 4일, 흘수가 얕은 이글렛 호가 래틀러 호 및 포와탄 호의 보트들을 끌고서 투묘장(anchorage)으로 진입한다. 해적선 한척이 도주를 시도했으나, 래틀러 호의 피니스 선(pinnace)과 포와탄 호의 커터 선(cutter)이 이를 차단한다. 2척의 보트가 노를 저어 사라진지 얼마 되지 않아, 나머지 보트 함대들은 마침내 전투 정크 36척으로 구성된 해적 본대를 발견하게 된다. 비록 해적들이 연합군을 향해 중포 사격을 실시하였긴 했지만, 그 사격은 명중률이 형편없었다. 반면 영국과 미국 선원들의 사격은 달랐다. 이들은 해적선 6척을 격침시키고, 비록 소형 정크선 16척이 도주하긴 했지만, 14척의 대형 정크선을 나포하는 데에 성공한다. 또한 해방시킨 정크선도 7척에 달한다. 그러나 정크선 중 2척은 구난(salvage)이 불가능하여, 나포한 해적선 14척과 함께 불태울 수밖에 없었다.

 

 비테른 호(Bittern)는 1855년 여름 동안 해적 소탕작전을 지속한다. 8월 마지막 2주간에 걸쳐 비테른 호는 30~ 40척으로 구성된 해적선단 하나와 교전을 벌여 이 중에서 20척을 격파한다. 8월 19일, 비테른 호는 요동만(Gulf of Leotung/ Liaodong Wan; 遼東灣)에 위치한 해적들을 공격하여 해적선 8척을 격침시킨다. 해적 대다수는 남쪽으로 도주하였고, 비테른 호는 다음 날 이들 중에서 13척을 따라잡아 11척을 격침 혹은 나포하게 된다. 8월 30일에도 비테른 호는 원래의 해적선단에 포함되었던 해적선을 또 한 척 발견하여 격침한다.

 

 몇 주 뒤인 1855년 9월 18일, 임대 무장선박(hired armed ship) 파오우슌 호(Paoushun)를 대동한 비테른 호는 석포(Sheipoo/Shipu; 石浦) 부근에서 22척의 해적선과 교전하게 된다. 한시간 이상 지속된 격렬한 전투 끈에, 비테른 호는 해적함대를 박살낸다. 전투 종료 후, 비테른 호에서는 해적선 22척 중에서 1척을 제외하고는 모두 항해 불가능 상태라는 판단을 내렸고, 이에 나머지 선박들을 모두 파괴한다. 해적들 중 일부는 육지로 도주를 시도했지만, 이들은 인근 마을의 농부들에 의해 피살당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해적질은 1860년대 내내 기승을 부렸다. 그러나 60년대 말에 이르르면 영국과 중국 당국의 일련의 조치들로 말미암아 그 규모는 감내할 만한 수준까지 감소하게 된다. 제 2차 아편 전쟁(Second Opium War)을 종결시킨 천진조약(Treaty of Tientsin)을 통하여, 영국은 해적들을 추격하기 위해 중국 영해로 진입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하게 된다. 이후 미합중국도 중국으로부터 비슷한 양보를 얻어내게 된다. 보다 중요한 사항으로, 1866년 홍콩에 새로 부임한 총독이 실시한 개혁으로 말미암아, 홍콩의 해적 해방구로서의 역할이 끝장났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해적들을 어떤 식으로든 돕는 행위는, 이것이 무기와 보급품을 제공하는 것든, 이들에게 은신처를 제공하는 것이든, 장물을 취하는 것이든 간에 법률 위반이었으며, 이를 위반하는 자는 중죄로 다스려졌다. 비록 영국은 1860년대 중반에 중국, 미국, 네덜란드, 포르투갈, 프러시아 선박들을 포함시킨 해적소탕 연합함대를 조직했었긴 했지만, 1860년대 말이 되면 영국 스스로가 이 해적소탕 작전에서 빠지고 싶어하게 된다. 그 대신, 중국인들에게 해적소탕에 필요한 군사 및 행정적 수단들을 제공함으로써, 중국인들 스스로가 이 문제를 해결토록 추구하게 된다. 예를 들어 1869년에는, 해적 소탕을 위해 2척의 건보트가 중국인들에게 제공된다. 이들은 같은 해, 3척의 소형 무장 증기선도 주문한다. 비록 이후에 중국 영해에 해적들이 돌아다니지 않게 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지만, 이러한 조치로 인하여 1870년 이후 대영제국이 실시해야 했던 해적소탕 작전의 규모를 감소시킬 수가 있었다.

 

 중국 영해에서의 해적질은 역시 해적질 번성의 3개 요소로 인하여 번창할 수가 있었다. 먼저 유리한 지형조건이 있었다. 해적질 대부분은 광저우(Canton)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집중되어 있었다. 이곳 해역은 수많은 작은 섬들과 만, 골짜기, 하천 입구들로 가득했고, 이들은 모두 해적들이 매복하기에 알맞은 장소였다. 이 시기 중국은 또한 정치적 혼란을 겪고 있었다. 중국은 영국과 2차례의 전쟁을 치뤘으며, 그 사이의 기간에도 내란으로 인해 혼란스러웠다. 중국 해적들은 이러한 환경을 통해 이점들을 취했다. 이러한 이점들 중 하나가 육상의 안전한 해방구였다. 상당수 지역의 지역관리들은 제대로 통치할 능력을 갖추지 못했으며, 이로써 해적들은 아무런 응징도 받지 않고 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 중에서 가장 중요한 해방구는 홍콩이었다. 1860년대의  개혁이 있기 전까지는, 해적들은 이 식민지 거리를 자유롭게 활보할 수가 있었다. 이들은 홍콩에서 재보급, 정보 수집, 장물 매각 등을 할 수 있었다. 즉, 19세기 대부분 기간 동안, 중국의 상황은 해적질을 매우 수지맞는 사업으로 만들게 된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해적소탕 작전의 이야기들을 살펴보다 보면, 또한 해적질의 생존성을 제약하는 또다른 요소를 발견하게 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 하나를 들자면, 해적들이 항상 유리하거나 쉬운 환경에서만 활동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영국 및 미국 관리들의 보고들을 살펴보면, 육지로 도주를 시도한 해적들이 마을 주민들의 공격을 받아 살해되었다는 언급이 적어도 1회 이상 등장하고 있다. 이는 중국 해적들의 경우, 동시기의 그리스나 아랍 해적들과는 달리, 항상 육지의 안전한 해방구의 이점을 누리지는 못했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영국과 미국의 해적소탕 작전이 벌어진 시기도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 시기는 배의 동력이 풍력의 시대에서 증기력의 시대로 변화하고 있던 시기였다. 이는 중요한 발전으로서, 해적소탕 부대에 증기선이 한 척이라도 섞이게 되는 경우, 적들에 대해 뚜렷한 기술적 우세를 보이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영국과 미국 해군의 작전 과정에서, 범선류(sailing ship)가 움직이기 곤란한 장소인 하천이나 얕은 만 등에서 작전하는 일도 종종 있었는데, 특히 이럴 경우 증기선의 위력은 뚜렷했다. 중국 해적들과의 전쟁 과정에서, 영국과 미국의 무기, 전술, 규율(weapons, tactics, and discipline) 등이 우월함이 입증되었으며, 이로써 최소한의 손실로 훨씬 대규모의 해적 함대를 격파할 수가 있었다. 과거의 해적소탕 작전들과는 달리, 영국인들과 미국인들은 처음부터 작전에 적합한 선박들과 전술을 가지고 임하였다.

 

 종합하면, 중국 해적들을 상대하여 영국과 미국 해군이 벌인 전투는, 과거 범선시대의 해적소탕 작전과 현대시대의 해적소탕 작전 사이의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비록 해적들이 지리적인 이점과 정치적 혼란, 지상의 해방구라는 이점을 갖고 있었음에도, 영국인들과 미국인들은 해적들의 활동 범위를 제약시키는 데 성공한다. 대규모 병력이 아닌 기술적 우위가 이를 가능케 하였다.

 


4장 참고문헌

 

(생략)


 

출처 : FocusWar
글쓴이 : 운영자-박용수 원글보기
메모 :